2011년 11월 1일 화요일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법


나는 대학교 3학년 시절 혈기 왕성하다 못해 상대방의 흉금에 생채기를 내는 사람은 아니였나. 그래서 주변의 미움을 사고, 그러한 현상은 더 나아가 내가 나를 미워하게 만들었다. 그 때 지인이 나에게 선물한 책이 <커뮤니케이션의 기술>이라는 처세술의 달인자, 카네기의 것이었다.

좋은 책이지만 그 책은 아직도 다 읽지 못하고 있다. 특히 당시, 왠지 모르게 그 책에 집중이 되지 않았다.

<커뮤니케이션의 기술>은 달콤한 사탕이지, 내게 그 책은 처방전은 아니였다.

그러다 송대의의 <벽암록>을 알게 되었다.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기술이 아니라 진심이다. 기술이나 도구 또한 진심을 발현하기 위한 것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나는 당시 내가 상대방을 이해하고 어울리는 것에 대한 기술이 부족한 사람이었다기 보다는 상대방과 어울리는 것 자체에 대한 회의감을 느끼면서 살았던 것 같다.

사람, 타인이 중요한 걸 깨달으면 커뮤니케이션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책에서 지적했듯, 사람은 내 생각만이 옳다는 것을 내려놔야 남의 말이 들리기 시작하는 존재이다. 그것이 남들과 소통할 수 있는 첫 걸음이다.

아마도 그 진심이 커뮤니케이션의 첫 걸음일 것이며 인간이 사회적 존재라는 점을 감안해볼 때, 인간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전제 조건이지 않을까.

이성이라는 말의 범위


프랑스인들이 휴가갈 때 챙기는 소설 랭킹 1위인 미셸 푸코의 <말과 사물>에 따르면, 인간이라는 존재는 최근의 산물이며, 인간의 이성도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결국 이성과 비이성의 경계는 역사적으로 변화해왔다. 따라서 이성적이라는 말의 범위는 역사와 더 나아가 장소에 따라서도 다를 수 있다.

성장소설의 교훈

쉽게 찾아오는 것은 우리의 일부분이 될 수 없다. 다만, 어렵게 얻은 것이 바로 우리의 일부가 될 수 있을 뿐이다.

인간의 꿈이란

화가 훈데르트바서가 얘기했다.

"나 혼자 꿈을 꾸면, 그건 한갓 꿈일 뿐이다. 하지만 우리 모두가 함께 꿈을 꾸면, 그것은 새로운 현실의 출발이다."

역시나 인간은 사회적 동물, 인간은 사회안에서만 인간이라는 생각과 함께 사회성을 가진 인간만이 자신의 꿈을 실현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한다.

독창성이란 무엇인가


진중권에 의하면 독창성이란 것은 이미 존재하는 것들을 다시 자기식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일례로, 들뢰즈의 보면 99퍼센트 남의 말을 다시 한 것이다. 그의 독창성은 바로 배치에서 기인한 것이다.

니체도 비슷한 주장을 했다. 그는 독창성이 세계에 존재하지만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는 것이라고 했다.

독창성이란 없는 것을 새로이 발견하는 것 혹은 창조해내는 것이라기 보다는 존재해있지만 그 존재감이 결여된 대상에 존재감을 부여하는 것은 아닐까.

2011년 10월 30일 일요일

나는 어떠한 사람이 좋은가 = 나는 어떠한 사람이 되고 싶은가


내가 좋아하는 인간상이 무엇일까 생각해 보았다.

내가 선호하는 인간상은 자기 분야에서 성공한 최고의 실력자일까. 그래서 똑똑하거나 능력있는 사람이 아닐까.

곰곰히 생각해보니 그것은 내가 좋아하는 인간상이 아니였다.

내가 좋아하는 스포츠 선수, 기업인, 연기자, 예술가 등은 그들이 그 업계에서 꼭 최고의 실력을 갖춘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나는 90년대 초반 NBA 농구를 보며 당대 최고의 스타인 마이클 조단 보다는 찰스 바클리를 좋아했기 때문이다. 그럼 나는 그를 왜 선망했을까. 또 한번 곰곰히 생각해봤다.

답은 나오지 않았다. 그리고 설령 내가 왜 찰스 바클리라는 선수를 선망하는지, 그 이유를 파악했다고 해도 그것이 내가 독립운동가인 김구 선생님이나 디자인의 하라 켄야,  힙합계의 Roots의 음악을 선호하는 이유 그리고 페인터인 파울 클레_Paul Klee의 그림을 좋아하는 이유와는 다르다.

그러나 그러한 여러 산업에서 내가 인정하는 인간상들의 최대 공약수를 구한다고 했을 때 떠오르는 것은 크게 2가지 측면이다.

1. 비전과 관련해서, 자기 비전이 존재하며 그 비전이 단순히 자신이 잘 먹고 잘 살기 위함이라기 보다는 세상과 환경을 생각하는 분위기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2. 더불어 그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진심과 성실을 다한 삶을 살았다는 것이다.

요약하면 비전이 있으며 그 비전이 세상을 향해있는 것 그리고 그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진심과 성실을 다한 삶을 살았다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겠다. 이것은 내가 좋아하는 인간상의 전형이지만, 동시에 닮고 싶은 인간상도 될 수 있을 것.

그리고 당연히 세상에 내가 되고 싶은 인간상을 구현하는 이는 없을 것이다. 전 세계 60억 인구 전체가 서로 다 다른 것이 현실이고 사실이며 그 다양성이 인간 존재의 본질이니. 그러니 너무 편협하게 생각하지는 말자.

그리고 나는 향후 훌륭한 기업가가 되고 싶지만 내가 닮고 싶은 사람이 딱히, 바로 떠오르지 않는 건 아마도 기업이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본질이 되어버린 사회상의 반영일까.

제이지는 왜 성공했을까


인생이 힙합 드라마. 할렘가에서 마약을 팔던 십대 시절의 숀 카터에서 음악 레이블을 넘어서서 뉴저지 네츠의 구단주로 성장한, 자본주의 시대에서 남들이 인정하는 높은 위치에 오르기까지 어떠한 유인이 유효했을까를 생각해보면, 변동성은 높지만 재능이 있다면 인정받을 수 있는 환경에서 자기 길을 개척했기 때문은 아닐까. 물론 개인적인 관점에서 재능과 열정도 주효 했겠지만. 그 변동성은 높지만 재능이 있다면 인정받을 수 있는 필드는 역시 생긴지 얼마 되지 않는 따끈따끈한 필드겠지.
결국에 자기 성공의 기준에 맞는 field와 domain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는 숀 카터 a.k.a 제이 지의 케이스. 귀감이 되고 용기가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