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1월 1일 화요일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법


나는 대학교 3학년 시절 혈기 왕성하다 못해 상대방의 흉금에 생채기를 내는 사람은 아니였나. 그래서 주변의 미움을 사고, 그러한 현상은 더 나아가 내가 나를 미워하게 만들었다. 그 때 지인이 나에게 선물한 책이 <커뮤니케이션의 기술>이라는 처세술의 달인자, 카네기의 것이었다.

좋은 책이지만 그 책은 아직도 다 읽지 못하고 있다. 특히 당시, 왠지 모르게 그 책에 집중이 되지 않았다.

<커뮤니케이션의 기술>은 달콤한 사탕이지, 내게 그 책은 처방전은 아니였다.

그러다 송대의의 <벽암록>을 알게 되었다.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기술이 아니라 진심이다. 기술이나 도구 또한 진심을 발현하기 위한 것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나는 당시 내가 상대방을 이해하고 어울리는 것에 대한 기술이 부족한 사람이었다기 보다는 상대방과 어울리는 것 자체에 대한 회의감을 느끼면서 살았던 것 같다.

사람, 타인이 중요한 걸 깨달으면 커뮤니케이션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책에서 지적했듯, 사람은 내 생각만이 옳다는 것을 내려놔야 남의 말이 들리기 시작하는 존재이다. 그것이 남들과 소통할 수 있는 첫 걸음이다.

아마도 그 진심이 커뮤니케이션의 첫 걸음일 것이며 인간이 사회적 존재라는 점을 감안해볼 때, 인간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전제 조건이지 않을까.

이성이라는 말의 범위


프랑스인들이 휴가갈 때 챙기는 소설 랭킹 1위인 미셸 푸코의 <말과 사물>에 따르면, 인간이라는 존재는 최근의 산물이며, 인간의 이성도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결국 이성과 비이성의 경계는 역사적으로 변화해왔다. 따라서 이성적이라는 말의 범위는 역사와 더 나아가 장소에 따라서도 다를 수 있다.

성장소설의 교훈

쉽게 찾아오는 것은 우리의 일부분이 될 수 없다. 다만, 어렵게 얻은 것이 바로 우리의 일부가 될 수 있을 뿐이다.

인간의 꿈이란

화가 훈데르트바서가 얘기했다.

"나 혼자 꿈을 꾸면, 그건 한갓 꿈일 뿐이다. 하지만 우리 모두가 함께 꿈을 꾸면, 그것은 새로운 현실의 출발이다."

역시나 인간은 사회적 동물, 인간은 사회안에서만 인간이라는 생각과 함께 사회성을 가진 인간만이 자신의 꿈을 실현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한다.

독창성이란 무엇인가


진중권에 의하면 독창성이란 것은 이미 존재하는 것들을 다시 자기식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일례로, 들뢰즈의 보면 99퍼센트 남의 말을 다시 한 것이다. 그의 독창성은 바로 배치에서 기인한 것이다.

니체도 비슷한 주장을 했다. 그는 독창성이 세계에 존재하지만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는 것이라고 했다.

독창성이란 없는 것을 새로이 발견하는 것 혹은 창조해내는 것이라기 보다는 존재해있지만 그 존재감이 결여된 대상에 존재감을 부여하는 것은 아닐까.